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스테고사우루스]] (Stegosaurus) ==== [anchor(스테고사우루스)] ||<#ffffff><-4><tablealign=center> [[파일:테고형.png|width=550px]][* TLC 이전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800px-Dossier_Stegosaurus.png|width=550px]]] ||<-4><#ffffff> [[파일:stegosaurus.png|width=300px]] || ||<#dddddd><-4> '''서류 이미지''' ||<#dddddd><-4> '''인게임 모델링 (TLC 이전)''' || ||||||||||||||<bgcolor=#505050> '''{{{+1 {{{#ffffff 스테고사우루스 }}}}}}''' '''{{{#ffffff Stegosaurus | ''Stegosaurus regium'' }}}''' |||||||||||||| ||<|2>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80px]] [* TLC 이전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Stegosaurus.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기절 조련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파일:Generic_Saddle.png|width=20]] '''안장 필요''' [br] (레벨 26)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가능 || || [[파일:Regular_Kibble.png|width=20]] 평범한 키블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650 || +130 || +5.4% || 0.07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300 || +30 || +10%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15 || +10%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6000 || +600 || +10%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500 || +10 || +4%||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42 || +2.1 || +1.7%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500 || +30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170 || '''607.75''' || '''210.375 (-20)''' ||<-2> +4.91% || || ||<#dddddd> '''수중''' || 300 || || ||<-2>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테크 스테고사우루스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변종 스테고사우루스 ([[에버레이션]] / [[발게로]])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감염된 스테고사우루스 ([[ARK: Extinction|익스팅션]])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고장난 테크 스테고사우루스 ([[ARK: Genesis: Part 1|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뼈 스테고사우루스 (이벤트)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VR 스테고사우루스 ([[ARK: Genesis: Part 2|제네시스: 파트 2]], 미션 한정) [[파일:스테고아이콘.png|width=20]] 괴상한 스테고사우루스 (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등장 맵'''}}} |||||||||||||| |||||||||||||| 아일랜드, 더 센터,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발게로, 크리스탈 아일[br]제네시스 파트 1,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드롭 아이템'''}}} |||||||||||||| |||||||||||||| 생고기, 고품질 생고기, 가죽, 케라틴 |||||||||||||| >'''Species''' >Stegosaurus regium > >'''Time''' >Late Jurassic > >'''Diet''' >Herbivore > >'''Temperament''' >Docile > >'''Wild''' >''Stegosaurus regium'' has approximately 16 paired rows of plates along its back, flanked by another, smaller pair of 6 plates. This is contrary to the alternating rows on Stegosaurus fossils I've seen in museums. Not surprisingly, Stegosaurus uses the spines on its tail to defend itself. While not aggressive, Stegosaurus will come to the aid of another nearby Stegosaurus. This implies it to be a herd animal. > >'''Domesticated''' >Stegosaurus is commonly used as a safe way to transport large quantities of goods. And once you saddle one up, not even an Argentavis could knock you off that perch. A stegosaurus can be trained to flex its back plates for different purposes: hardened to shield it from attack, in a heavier alignment that deals crippling blows, or oriented more sharply to pierce armor. These various plate configurations also come in handy for stripping wood from trees, gathering thatch, or foraging for wild berries, respectively. Stegosaurus can knock back or impale with a whip of its spiky tail, keeping predators at bay or pinning them in place. Its spiked appendage also helps for gathering berries—go figure. >---- >'''[[헬레나 워커]]''' 중형 초식공룡으로, 보통 해안가나 초반 스폰구역에도 흔하게 보이는 트리케라톱스와는 달리 조금 더 내륙이나 숲속으로 들어가야지 흔하게 보이기 시작하는 생물이다. 공격받으면 반격하나, 속도가 느린 편이고 헤드샷 판정도 있기에 적당히 뒷걸음질치며 원거리 무기로 상대하거나 길들인 랩터 다수로 공격하면 초반의 저레벨 생존자라도 사냥할 수 있다. 죽일 경우 생고기와 고품질 생고기, 케라틴 소량을 드롭한다. 스테고사우루스를 상대할 때 주의사항이 있다면 스테고사우루스의 체력과 공격력은 본격적인 중형 사이즈의 생물답게 상당한 편이고, 야생 스테고사우루스는 후술할 골판 모드 중 하나인 '''단단한 판'''이 기본적으로 적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마취도구를 포함한 모든 피해를 절반으로 줄여받는다. 따라서 사냥이 목적이든 테이밍이 목적이든 충분한 양의 화살이나 마취도구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추가로 스테고사우루스의 특수능력 중 하나인 꼬리로 지지는 공격에 제대로 맞으면 기력이 전부 소진되고 대미지도 꽤 아프기에, 맨몸으로 상대할 때는 가급적 스테고사우루스의 공격 범위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는 게 좋다. 테이밍은 매우 쉽다. 기절수치는 적당한 편이며 헤드샷 판정까지 있기에 적당히 카이팅하며 머리에 마비화살을 박아넣다 보면 금세 기절수치가 차올라 도망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심해야 할 것은 단단한 판 모드로 인한 마취도구의 효율 감소와 주위의 선공하는 육식생물들. 특히 카르노타우루스의 경우 스테고와 스폰 구역을 공유하고 어그로 범위도 상당히 넓어서 테이밍 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속도가 꽤나 빠른편[* 플레이어의 뛰는속도로 잡힐까 말까한 속도다.]이기 때문에 장애물이 많은곳에서 테이밍을 해야한다. 기절수치는 초식공룡답게 느리게 떨어지는 편이지만 키블이 없을 경우 조련 효율과 속도가 떨어지니 메조베리로 테이밍한다면 마취약을 추가로 준비하자. 길들인 스테고사우루스는 중상위급의 체력, 상급의 열매 수집능력과 단단한 판, 골판의 모드 변경에 따른 여러 가지 특수능력들을 가지고 있다. 무게 역시 준수한 편이라 상당한 짐을 나를 수 있기에 짐꾼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인벤토리 내 베리들의 무게를 75% 경감해 받는다. 좌클릭 기본 공격의 경우 대미지도 꽤 강한 편이며 공격 범위가 매우 넓다. 공격 모션이 반원 모양의 범위를 꼬리를 휘둘러서 공격하는 건데, '''꼬리를 휘두르는 부분 전체보다 조금 더 넓은 지역이 모두 공격 범위'''다. 이 어마어마한 공격 범위 덕분에 자원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고 앞쪽, 왼쪽, 오른쪽, 뒷쪽을 모두 공격할 수 있다. 뭔 소린지 모르겠다면, 스테고사우루스의 몸 위를 제외한 꼬리가 닿는 모든 부분이 '''공격 범위 안에 들어간다'''. 정확히는 1회 공격 범위가 스테고사우루스의 몸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과 같고, 때문에 이 공격 원은 위에서 봤을 때 스테고사우루스의 뒤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심지어는 무지막지한 넉백 능력까지 있다. 이 공격의 단점은 연속으로 사용할 경우 공격 속도를 판정이 따라오지 못하는 버그. 스테고의 꼬리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기도 전에 다시 공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공격 판정이 무시된다. 때문에 채집이던 전투던 답답하더라도 아주 약간의 텀을 두고 써주어야 제대로 공격 판정이 적용된다. 우클릭 공격은 크로스헤어가 표시되고 붉은 색이 될 때 사용하면 생물을 꼬리로 꽂아버리고 지속적으로 출혈 피해를 주며 기력도 소진시킨다. 그런데 꽂는 게 가능한 생물의 범위가 상당히 넓어서 '''말 그대로 모든 생물을 꽂는 게 가능하다.''' [* [[https://youtu.be/jNQwfp3DTgs?t=160|'''타이탄도 해당된다.''']] 덕분에 타이탄의 어마어마한 체력을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Valguero#데이노니쿠스|역으로 순식간에 녹여버리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다만 타이탄의 경우 가능하기는 하지만, 타이탄 자체가 고화력의 생물인 만큼 꼼수를 쓰거나 체력 돌연변이를 잔뜩 쌓아놓은 스테고가 아닌 한 접근하기도 힘들어 응용은 어렵다. 특히나 PvP 환경이라면 더더욱 그럴 일이 없으니 참고만 하자.] ||<tablealign=center><nopad> [[파일:Stegosaurus_TLC.jpg|width=800px]] || ||<bgcolor=#dddddd> 꼬리로 생존자를 공격하는 모습 || C키를 누르면 스테고사우루스가 마치 각질을 털어버리는 듯한 애니메이션과 함께 골판의 무늬와 각도가 변하는데, 총 3가지 모드가 존재하며 각 모드별로 고유한 특수능력과 채집 효율을 가지게 된다. 모드에 따라 꼬리 휘두르기의 이펙트도 바뀌는 건 덤.[* 스테고의 꼬리 공격은 휘두른 궤도가 나타나는 이펙트가 있다. 단단한 판일 때는 기본적인 흰색 이펙트가 뜨지만, 무거운 판이라면 파란색, 예리한 판이면 노란색으로 나타난다.] 공통적으로 골판에 원거리 무기 대미지 감소 효과를 가지며, 기수가 집히는 것에 면역이다.[* 물론 스테고 자체가 집힐 수 있기에 케찰이나 와이번 등의 비행생물은 여전히 조심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무턱대고 집었다면 기수가 가진 샷건이나 저격소총 등으로 반격당하거나 그대로 터렛타워에 런 각을 내어줄 수 있으므로 마냥 집어가기도 뭐하다.] * [[파일:스테고 모드 1.png|width=25]] '''단단한 판(Hardened Plate)''' 모드는 골판이 붉은 빛이 돌며, 가장 좁게 세워져 있는 각도로 변한다. 특징으로 이 상태에서는 받는 피해량이 절반으로 감소하며, 베리를 수확할 수 없게 되지만 대신 목재를 고효율로 채집하게 된다. 매머드나 비버 같은 본격 목재 채집 전용 생물들에게는 미치지 못하지만 생존자가 도끼로 캐는 것보다는 훨씬 많이 채집하는 수준. 전체적으로 이전 PvP에서 스테고의 탱커 역할을 계승한 모드라 볼 수 있으며, 안장 방어력까지 더해졌을 때 대미지 감소의 효과는 더욱 더 눈에 띄게 변한다. * [[파일:스테고 모드 2.png|width=25]] '''무거운 판(Heavy Plate)''' 모드는 골판이 푸른 빛이 돌며, 거의 [[안킬로사우루스]]의 등을 연상시키는 정도로 판이 쳐진 모습이다. 이 상태에서는 평타 적중 시 적에게 슬로우를 걸게 되며, 짚 수확량이 증가하게 된다. * [[파일:스테고 모드 3.png|width=25]] '''예리한 판(Sharpened Plate)''' 모드는 골판이 노란 빛이 돌며, 단단한 판과 무거운 판의 중간 정도의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공격이 플레이어의 갑옷을 상대로 방어구 관통 효과가 적용되며,[* 생물의 안장을 대상으로는 효과가 없다. 예리한 판 모드를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 전부 공격의 방어상수가 4로 똑같다.] 베리 수확량이 증가하게 된다. 위와 같은 특징 덕에 길들인 스테고사우루스는 PvP에서 터렛의 총탄을 소비시키는 탱킹용 및 비행생물에 기수가 낚일 걱정 없이 어느 정도 맞으면서 들어가 기수가 가진 폭발성 무기로 적의 구조물을 파괴하는 공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PvE에서는 초중반 전투용 및 베리 채집용, 목재 채집용 생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목재의 경우 초반에 마땅히 목재를 고효율로 채집할 수 있는 생물이 없어[* 매머드는 위험한 설원 지역에 서식해서 저레벨 때 테이밍하기가 힘들고, 비버는 빠른 기절수치 감소와 높은 안장 해금 레벨로 매머드와 비교했을 때도 메리트가 없다.] 곤란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 초반에도 이전보다 훨씬 쉽게 목재를 채집할 수 있게 되어 목재 및 석재 집 건설이 수월해졌다. 스테고사우루스의 알은 평범한 키블의 재료가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